↓ 티스토리 자체광고 ↓ 단체협약2 [단체협약] 비조합원도 단체협약 적용 될 수 있을까? (일반적 구속력) 대다수 노동조합이 있는 사업장에는 단체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조합원만 적용하거나 전직원이 적용하고 있을텐데요. 단체협약은 어떤 기준으로 조합원 한정 되거나 전직원을 포함하여 적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단체협약이란? 단체협약은 노동조합과 사용자가 임금 및 근로시간 등에 대한 근로조건에 대해 단체교섭을 통해 합의한 협약사항입니다. 단체협약을 통해 취업규칙 보다 유리하게 체결된 내용이 있는 경우 기존의 취업규칙은 무효화하기 때문에 근로조건 개선에 도움이 되며, 단협은 유효기간이 있어 (2년 ~ 3년 등) 그 기간 동안 분쟁 없이 노사가 각자 업무를 성실히 수행할 수 있기게 노사관계 안정 효과도 있습니다. 단체협약 적용대상 사측과 노동조합 사이에서 단체교섭이 진행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조합원은 단체협약을 대상자에.. 2023. 3. 15. 급여규정의 유형과 임금체계 (단체협약, 취업규칙) 직장을 다니면서 정기적으로 지급 받는 임금은 급여규정이나 단체협약 등을 기준으로 책정되고 있을텐데요. 이런 급여규정이나 단체협약은 왜 만들어지고 관리되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서로 다른 임금 관점을 관리 임금은 근로자에게는 주된 생계의 원천이지만 회사는 인건비로서 주된 생산비용이 됩니다. 따라서, 더 많은 임금을 원하는 근로자와 더 적은 임금을 원하는 회사 입장이 서로 대립하는 경우가 통상적이고 결국에는 당사자의 합의에 따라 정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됩니다. 하지만 더욱 규모가 큰 회사라면 회사가 개별 근로자와 일일이 합의를 통해 임금을 정하는 경우보다는 사장업 근로자들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급여 관련 규정을 만들고, 근로자가 채용되면 그 급여규정에 따라 임금이 정해지도.. 2022.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