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자체광고 ↓ 고용노동부10 근로계약서 관련 의무 사항 (한글 표준근로계약서 양식 다운로드) 입사시 근로계약서를 체결함으로서 업무를 시작하는데요.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입사일 또는 그 이전에 작성을 해야합니다. 사업주에게는 근로조건의 서면명시 및 교부 의무가 주어지는데요. 어떤 내용이 있는 확인하시고, 계약서 작성이 어려운 경우 아래의 샘플 및 첨부파일을 활용하여 작성하시기를 바랍니다. 근로계약서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한 임금을 지급함을 목적으로 체결하는 계약서입니다. 이 근로계약서에는 법에 따라 근로조건을 명시해야하며 체결된 계약서는 교부해야하며 이를 지키지 않은 경우 근로기준법 벌칙조항에 따라 500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됩니다. 근로조건 필수 기재 항목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 및 지급 방법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및 공휴일 연차 유급휴가 근로조건 단순 기재 항목 .. 2023. 4. 13. 급여명세서 교부 의무와 임금명세서 생성 프로그램 (고용노동부) 일반적으로 매월 지급 받는 급여, 월급이라고 하죠. 지급 받으면서 급여명세서 함께 받고 계신가요? 혹시 회사 급여담당자라면 혹시 교부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와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급여명세서를 만드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급여명세서 교부는 의무입니다. 급여를 지급 시 급여명세서를 회사에서 교부하고, 또 근로자는 받고 있나요? 사용자와 근로자가 임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고, 임금체불 시 노사 간 임금에 대한 다툼을 줄이고자 근로기준법에 임금명세서 교무를 의무화했습니다. 급여뿐만 아니라 임금에 포함되는 상여, 연차수당 등도 명세서 배포는 의무입니다. 제48조(임금대장 및 임금명세서) ②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는 근로자에게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 제43.. 2023. 3. 8. 미래노동시장 연구회의 임금체계 개혁과제 얼마전 고용노동부의 미래노동시장 연구회에서 권고문이 발표됐는데요. 그들 스스로 개혁과제라고 발표한 것 만큼 임금체계에 대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래노동시장 연구회? 고용노동부의 조직으로 22년도 하반기에 설치되어 조직 이름 그대로 미래의 노동시장에 대한 대응을 위해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 노동시장을 연구를 하는 기구입니다. 근로시간 제도 개선과 임금체계 개편을 위한 부분을 중점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최근 이와 관련한 권고문이 발표되었습니다. 기존의 임금체계에 대한 부분을 작성했는데요. 능력에 따른 공정한 보상 → 임금체계 개편 임금체계 개혁과제 중고령자의 계속 고용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반이 되는 임금체계 개편, 고용형태 및 원청 하청 기업 간 임금격차 축소를 위한.. 2022. 12. 23. 포괄임금제 인정 요건 (유효한 고정OT란?) 포괄임금제 때문에 장시간 근로가 생겨났다. 포괄임금제는 불법이다.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고용노동부의 기업체 노동비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절반 이상(약 52%)이 적용되고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포괄임금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괄임금제란? 포괄임금제는 근로시간 산정이 실제로 어려운 경우 등 엄격한 요건 아래 극히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는 임금지급 방식이지만, 실제 많은 사업장에서는 계산상의 편의상의 이유 또는 초과근로 예정 등 다양한 이유를 들어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포괄임금제는 일반적으로 연장근로수당을 비롯한 법정수당(휴일근로, 야간근로) 등을 실제 근로시간에 상관없이 기본급에 포함하여 지급하거나 정액으로 지급하는 임금지급 방식으로 정액급제 또는.. 2022. 9. 26. 유급(약정)휴일과 주휴일 또는 무급 휴무일 중복시 수당은? 근무하다 보면 일주일에 1회 주휴일이 휴무일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회사는 일요일을 주휴일, 토요일을 무급 휴무일로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이때 대체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다른 약정 휴일과 휴일이 중복되는 경우 수당은 어떻게 지급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약정휴일, 주휴일, 휴무일의 뜻 우선 주휴일과 휴무일, 그리고 약정휴일은 근로자가 회사에서 근로를 하지 않는 날입니다. 하지만 용어가 다른 만큼 의미는 각각 다른데요. 휴일 : 휴일은 법적으로 정한 법정휴일과 회사가 근로자와 약정하여 정한 약정휴일이 있습니다. 법정휴일 : 법으로 지정한 휴일로 근로자에게는 근로자의 날, 주휴일과 공휴일에 관한 법률에 정한 휴일이 해당합니다. 약정휴일 : 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사가 근로자와 휴일로 약정.. 2022.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