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티스토리 자체광고 ↓


호봉제3

직무급과 직능급이란? (연공급 호봉제의 대안적 임금체계) 앞서 연공급(호봉제)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미국이나 유럽 등 해외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임금체계인 직무급제와 일본에서 활용하고 있는 직능급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연공서열적인 임금체계의 대안으로 종종 언급되고 있는데요. 직무급과 직능급에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무급 제도 직무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기 때문에 근속년수, 직급과 관계 없이 누가 직무를 수행하나와 관계없이 동일한 임금을 받게되는 임금체계입니다. 직무의 변화가 없는 한 원칙적으로 임금조정도 없으며 상위 직무로의 이동이 있어야 인상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단, 전체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일률적 임금인상(Base-up)의 경우 제외) 따라서 호봉제와 같이 매해 자동으로 임금이 오르지 않으며 오로지 직무에 책.. 2022. 8. 30.
이연임금제란? (Deferred wage system) : 임금체계 호봉제나 임금제도에 대한 공부를 하다 보면 언급되는 '이연 임금제'라는 용어를 듣게 되는데요. 이 이연임금제는 이론은 어떤 내용이고 호봉제와 차이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연임금제란? 근로자의 생애 주기를 기준으로 젊을 때는 생산성보다 낮은 임금을 수령하고 특정 연령 이상시에 생산성 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것입니다. 사업주는 직무 숙련 높이면서 생산성이 높은 시기에 임금 부담을 완하하고, 근로자 입장에서는 고용보장을 받으면서 일정 연령 이후 생산성 대비 임금이 높아지기 때문에 회사와 근로자 모두에게 유리하다는 임금 이론입니다. 이 이연임금제는 마치 연공서열적 호봉제 임금제도와 유사한 게 호봉제의 경우 최초 낮은 호봉으로 시작해서 연차가 누적될수록 호봉이 올라 임금도 따라 올라가기 때문에 연공급.. 2022. 8. 26.
연공급(호봉제)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회사에서 지급 받는 급여는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고 조정하는지에 따라 연공급, 직무급, 직능급, 역할급, 성과급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 아마도 가장 많은 회사에서 사용 중인 연공급제 즉, 호봉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공급이란? 연공급은 임금인상이 주로 연공성 요인인 경력, 근속년수 등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체계를 총칭하는 것으로 엄밀히 이야기하면 근속년수별 자동 호봉승급을 지칭하는 호봉급과는 구별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연공급은 거의 호봉급 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실상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연공급은 호봉급제라고하며 임금의 주된 부분이 근속년수에 의해 호봉이 증가되어 임금이 결정되는 임금체계의 유형입니다. 이런 경우 회사에서 호봉표.. 2022.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