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티스토리 자체광고 ↓


임금

야근하면 야간근로수당이 나오나요? (심야수당 기준 및 계산 방법)

by ordinary wage 2022. 10. 5.

주 52시간 근무시간 적용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근을 하는 경우도 또 야간조에 근무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지급 받을 수 있는 수당이 어떤게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밤12시_야간근로수당_2시간_적용
야간근로 2시간이 넘었음

 

야간근로수당! 나도 받을 수 있나?

9시에 출근하고 6시에 퇴근해야하지만 오늘도 쌓인 일 때문에 연장근로 야근이 시작됩니다.

열심히 야근했는데, 야간근로수당 대상이 아니라고 하는데... 왜 그럴까요?

야간근로수당은 법으로 정해진 수당입니다.

회사에서 사업장에서 주기 싫다고 주지 않으면 당연히 임금체불이겠죠!!

근로기준법에는 야간근로수당 대상 시간대를 명시해두었는데요.

밤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의 근무할 경우 일종에 심야할증 개념으로 야간근로수당을 지급합니다.

이 때문에 심야수당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6조(연장ㆍ야간 및 휴일 근로)
③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밤 10시 이전에 퇴근하는 경우에는 야간근로수당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대신 소정근로시간 8시간을 초과한 근무시간에 대해서는 연장근로수당에 해당합니다.

 

 

야간근로수당 계산

야간근로를 하게된 경우에는 실제 야간근로 시간만큼 통상시급의 50%만큼 추가로 계산해야하는데요.

만약 월 통상임금이 209만원, 1시간 통상임금은 1만원인 근로자가 밤10시부터 12시까지 근무한다면

 

야간근로수당 : 야간근무 2시간 × 통상시급 10,000원 × 50% = 10,000원

 

즉, 원래 받아야하는 임금(2만원) 외에 10,000원의 임금을 추가로 받야야 합니다.

 

계산 방식은 위에 사례와 같이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데, 실제 계산시 필요한건 야간근로시간과 본인의 통상시급을 알고 있다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야간근로해도 야간근로수당이 안 나온다고?

실제 야간근로를 했는데, 야간근로수당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확인해봐야할게 자신의 임금이 포괄임금제에 해당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실제 연장, 휴일, 야간근로를 하지 않더라도 고정OT, 시간외수당을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경우 포괄임금제에 해당합니다.

쉽게 설명하자만 실제 연장, 휴일, 야간근로시간 말고 매월 책정된 수당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책정된 시간 미달시에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책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차액을 지급해야하니 조금 복잡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회사의 인사팀, 급여팀 등의 급여 담당자에게 문의하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포괄임금제 인정 요건 (유효한 고정OT란?)

포괄임금제 때문에 장시간 근로가 생겨났다. 포괄임금제는 불법이다.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고용노동부의 기업체 노동비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절반 이상(약 52%

ordinarywage.tistory.com

 

 

야간에 근로는 육체적 피로와 신체 리듬이 망가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추가적인 금전적 보상으로 사용자의 야간근로제한 될 수 있도록 법으로 명시해두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한 사정으로 늦은 밤까지 근무하시는 분들 응원하고 싶습니다. 누구나 쉬는 시간에 힘들게 일 하는 분들 때문에 사회가 잘 작동되는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 야간근로수당(심야수당)에 대한 정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티스토리 카카오 자체광고 ↑

서포트 광고

댓글